저평가 사는법 주식 종목 고르기 네번째 PBR 보는법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Price Book-value Ratio로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때 몇배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기업의 청산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할때 쓰인다. 주가수익비율(PER)이 기업의 수익성으로 판단하는 지표이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기업의 재무와 비교해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즉, PBR은 재무내용에 비해 주가가 어느정도 수준인지를 표시하는데 PBR이 높다면 재무내용에 비해 주가가 높다 PBR이 낮다는것은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낮다. PBR은 청산가치라고 표현하는데, PBR이 1이면 주가와 기업의 청산가치가 같다는 뜻이된다. 1이하이면 청산가치에도 못 미칠 만큼 낮다. 따라서, PBR이 낮을수록 주가는 저평..
저평가 주식 종목 사는법 두번째 EPS 와 PER 이번에 볼 지표는 주당순이익(EPS) 와 주가수익비율(PER) 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다싶이 예상 EPS와 시장평균 PER을 곱하면 적정주가를 계산해 볼수 있습니다. 예상 EPS는 예상 세후순이익 / 발행주식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EPS가 -라면 당연히 적자 기업이라는 거겟죠 만약 A회사의 1년 후 예상 EPS가 1만원이고, 시장평균 PER이 10배라면, A회사의 적정주가는 10만원이 되게 됩니다. 코스피 상위 종목을 보시면 기업의 주가가 적정주가와 비슷하다는것을 알수있습니다. 적정주가가아닌 지표로써 예상 PER을 계산하여 사용할 수 도있습니다. 예상 PER은 주가 / 예상 EPS가 됩니다. PER이 낮으면 회사의 이익금에 비해 저평가 PER..
주식 돈벌기 필수 매매주문 사는법 매매주문은 다양합니다. 각각 상황과 조건을 생각해 적절히 활용해야합니다. 1. 지정가 주문은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과 수량 가격을 지정하여 주문하는 것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지정가 주문 후 현재 시세가 호가와 맞지 않는다면 구매가 이뤄지지 않아 정정 및 취소를 할수 있습니다. 2. 시장가 주문은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과 수량만 지정하고, 가격은 직접 지정하지 않고 현재 시장에 형성되어 있는 가격 으로 구매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빠른 시간안에 확실히 체결되지만, 조심해서 사용해야합니다. 구매 또는 판매 수량에 비해 호가창에서 수량이 충분하지 않을때 원치않는 가격으로 구매 또는 판매가 진행될 수 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 사진에서 시장가로 1000 주를 매수 ..
주식보다 이해쉬운 코덱스(KODEX) 코스피 레버리지 인버스란? 투자법은 보기 앞서 코덱스(KODEX) ETF는 무엇인가!? 코덱스 홈페이지에 가보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ETF 브랜드 KODEX의 ETF중에 하나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ETF 시장의 자산 규모 41조 원중 21조원이 삼성자산운용 코덱스 ETF의 규모라고한다. (2018년 12월말 기준이라고 하네요.) 그중 설명할것은 코덱스 레버리지/인버스이다. 이것은 쉽게 설명하면 코덱스 레버리지는 코스피200 지수의 2배에 만큼 수익괴 손실이 생긴다. 말그대로 코스피 200이 기준으로 1% 상승하게 되면 코덱스 레버리지는 2%의 수익이 발생한다. 1% 떨어지면 당연히 2% 손실이 발생한다. 이해하기 쉽다! 말그대로 코스피 200의 지수에 배팅!! 코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