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평가 사는법 주식 종목 고르기 네번째 PBR 보는법 주가순자산비율 PBR은 Price Book-value Ratio로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누었을때 몇배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기업의 청산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할때 쓰인다. 주가수익비율(PER)이 기업의 수익성으로 판단하는 지표이면. 주가순자산비율(PBR)은 기업의 재무와 비교해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이다. 즉, PBR은 재무내용에 비해 주가가 어느정도 수준인지를 표시하는데 PBR이 높다면 재무내용에 비해 주가가 높다 PBR이 낮다는것은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낮다. PBR은 청산가치라고 표현하는데, PBR이 1이면 주가와 기업의 청산가치가 같다는 뜻이된다. 1이하이면 청산가치에도 못 미칠 만큼 낮다. 따라서, PBR이 낮을수록 주가는 저평..
저평가 주식 종목 사는법 두번째 EPS 와 PER 이번에 볼 지표는 주당순이익(EPS) 와 주가수익비율(PER) 입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다싶이 예상 EPS와 시장평균 PER을 곱하면 적정주가를 계산해 볼수 있습니다. 예상 EPS는 예상 세후순이익 / 발행주식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EPS가 -라면 당연히 적자 기업이라는 거겟죠 만약 A회사의 1년 후 예상 EPS가 1만원이고, 시장평균 PER이 10배라면, A회사의 적정주가는 10만원이 되게 됩니다. 코스피 상위 종목을 보시면 기업의 주가가 적정주가와 비슷하다는것을 알수있습니다. 적정주가가아닌 지표로써 예상 PER을 계산하여 사용할 수 도있습니다. 예상 PER은 주가 / 예상 EPS가 됩니다. PER이 낮으면 회사의 이익금에 비해 저평가 PER..
저평가 주식 종목 사는법 첫번째 ROE 보는법 저평가 주식을 고르는 첫번째 방법으로 자기자본이익률(ROE) 보는법을 보겠습니다. 기업은 자금을 투자 및 활용하여 제품을 생산부터 판매까지 이익을 만든다. 이러한 기업의 힘이 될수있는 자본의 지표를 총자산수익률(ROA, Return On Assets)으로 나타낼수 있습니다. ( ROA = 이익 / 총자산 * 100 ) 하지만, 총자산수익률은 부채또한 포함하여 계산하기 때문에 자기자본으로 얼마를 수익을 내는가! 를 볼수있는 지표가 자기자본이익률(ROE , Return On Equity) 입니다. 이 지표는 자기자본으로 얼마의 순이익을 얻는지를 알수있는 지표이다. (ROE = 당기순이익/평균자기자본 * 100) ROE가 높은 기업은 자기자본대비 높은 수익을 얻는..
주식사는법 가치투자 필수 지표보는법 가치투자를 하기위해서는 종목을 선택해야합니다. 가치투자는 저평가된 종목의 대상을 선택하는것 부터죠 이때, 투자대상을 선택에 중요한 측면은 수익성 , 성장성, 안정성 입니다. 참고할만한 지표로 EPS, PER, PBR 등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후 종목선택을 하는 방법에대해 하나하나 블로그 포스팅으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EPS(Earning Per Share) 주당 순이익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는지는 나타내는 지표로써 당연히, EPS가 높을수록 가치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ER(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 비율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PER이 작다면, 기업이 내는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